요즘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오염 문제와 더불어 이러한 정책들은 환경 보호 및 ESG 정책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두드러지게 중요하게 다가옵니다. 최근에 소개된 'K패스'는 그중 하나로, 국토교통부가 주도하여 교통비 부담 완화 및 대중교통 이용 촉진을 위해 제시한 혁신적인 정책입니다.
K패스 란?
K패스는 2024년 5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인 교통카드로, 국민들이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카드를 구입하면 월 최대 60회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현재는 경기도와 인천시가 중심이 되어 시범사업을 준비 중이고, 기후동행카드는 2024년 7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지역 교통카드와 연계하여 높은 효율의 교통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K패스는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하는 189개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국민적인 프로젝트로, 전국의 대다수 지역 교통수단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특히 전철, 지하철, 시내버스, 광역버스, 신분당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마을버스, 농어촌버스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며, 월 최대 60회의 이용이 가능합니다. 더불어 환급형으로 월 15회 이상 정기적인 이용 시에는 20%,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최대 53%의 금액을 60회까지 환급해 주는 혜택이 제공됩니다.
혜택 및 환급
K패스는 일반 시민에게는 월 20%, 청년(19세~34세)은 30%, 저소득층은 53%의 금액을 최대 60회까지 환급해주는 혜택이 있습니다. 이는 환급형으로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에게 특히 유리한 제도입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와는 차별화된 정책으로, 도보나 자전거 이동거리에 마일리지를 환급하는 방식과는 다릅니다.
K패스 신청 방법
K패스의 신청은 기존 국토부의 알뜰광역교통카드 사용자는 별도 신청 없이 이용 가능하며, 신규로 K패스 카드를 신청하려면 공식 누리집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신청 방법을 확인하거나, 11개의 카드사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신청 방법은 나중에 공개될 예정이니, 5월 전까지 기다리시면 됩니다. 주요 금융 기관으로는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현대, 삼성, bc, nh농협, 티머니,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 등이 참여합니다.
교통비는 현금영수증을 받아두어 소득공제에 활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K패스를 통해 국민들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대중교통 이용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신청은 기존 알뜰광역교통카드 사용자는 별도 신청 없이 이용이 가능하며, 신규로 K패스 카드를 신청하려면 공식 누리집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확인하거나, 11개의 카드사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 기관으로는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현대, 삼성, bc, nh농협, 티머니,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 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통비는 현금영수증을 받아두어 소득공제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는 국민들에게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혜택을 크게 높여주는 혁신적인 프로그램으로, 환경 보호와 교통비 부담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혜택을 놓치지 말고 K패스를 통해 편리하고 경제적인 대중교통을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건축 재개발 안전진단 간소화 규제 완화 정부 대책 정리 (1) | 2024.01.26 |
---|---|
2024년, 새롭게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 총정리, 청약통장 변화, 전세자금대출 갈아타기 (1) | 2024.01.25 |
연말정산 총정리! 연말정산 개념, 원리, 실전 (1) | 2024.01.24 |
중소기업청년소득세감면 대상자 조회 신청 방법 기간 나이 확인 연말정산 (0) | 2024.01.23 |
백종원의 '더본', '토스' 상장 촉각 2024년 주목할만한 공모주 (2)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