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에 일부 지원사업 내용이 개선 또는 변경되었습니다.
그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가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2024년 청년도약계좌
달라진 내용
- 육아휴직급여 가입요건 변경:
- 육아휴직급여의 가입요건이 변경되어 소득에 포함됩니다.
- 전년도 소득 확정전 가입자 비과세 혜택:
- 전년도 소득 확정 전에 가입한 경우, 해당 가입자들은 모두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전 가입자의 경우 소급 적용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환승 및 일시납 혜택:
- 청년희망적금을 청년도약계좌로 환승하거나 일시납입할 경우, 더 많은 이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특전이 있습니다. 일시납입 시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제공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려면 해당 사업 관련 안내를 자세히 살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현재도 상황에 맞춰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과거에는 전전년도 소득으로 가입하는 경우, 전년도 소득확정시 과세전환 여부를 심사한 후 비과세 적용기준으로 연 한도를 적용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과세전환 여부를 미검증하고 있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vkVxi/btsDqni0mbO/dpHkJ17kiglcmjWmb5y0ik/img.png)
세법 개정으로 인해 일부 변화가 있었는데, 이전에는 육아휴직급여가 청년도약계좌의 소득요건으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2024년 1월 1일 이후로는 육아휴직급여도 청년도약계좌의 소득요건으로 인정되어, 육아휴직을 하는 분들도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로써 더 많은 청년들이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2월부터 3월 중 만기를 맞이하는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은 만기수령금을 받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비과세가 적용되는 납입한도를 개정하여 비과세 혜택을 더욱 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어떤 혜택이 적용되는지를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원내용
청년희망적금 환승 vs 미환승
아시겠지만, 청년도약계좌는 월 70만원씩 5년간 납입하면 정부에서 비과세 혜택 및 지원금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이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청년이어야 하며, 소득요건과 가구요건을 충족하고,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중복 가입이 불가능한 정책으로, 기존 청년희망적금과 중복이 허용되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만기만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중복 가입이 안되면서 청년희망적금 2년과 청년도약계좌 5년의 합이 7년이라서 어떤 개선이 이뤄지지 않을까 기대를 했었는데, 새로운 정책이 도입되었다는 소식이 있더군요?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환승
청년희망적금 만기환급금 1,260만원
-> 청년도약계좌 70만원x18개월 납입 인정 = 4,940만원
청년희망적금은 24개월에 걸쳐 매월 50만원씩 납입하여 만기시에는 원금 1,200만원과 장려금 36만원이 포함된 1,260만원이 환급됩니다. 이 금액을 청년도약계좌로 환승하면서, 즉, 갈아타면서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할 경우 최대 금액인 70만원으로 18개월 동안 납입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18개월까지의 납입이 인정되기 때문에 19개월차부터는 매월 70만원씩 납입하면 됩니다. 중복이 불가능한 정책으로 인해 지나간 시간을 감안하여 일시납입하는 것으로 보이며, 일시납입을 통한 이자와 정부 기여금을 포함하여 받을 경우 총 환급금은 4,940만원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를 그냥 가입하는 경우
매월 70만원씩 60개월, 연이율 5%로 저축시
총 4,733만 7,500원 수령가능!
청년도약계좌를 그냥 가입할 경우, 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이 약 4,733만원입니다. 여기에 정부 지원금 144만원과 지원금 이자인 183,000원을 더하면 약 4,895만원이 됩니다. 반면에 일시납입할 경우에는 4,940만원으로, 그냥 가입하는 경우인 4,895만원과 비교하면 약 45만원 정도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시납입을 하는 것이 이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미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계획이 있는 경우에는 일시납입을 통해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0HzC/btsDp4DW1YQ/M6fvviwMxT9MLcYZLUDjo1/img.png)
2024년 1월에는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이 1월 2일부터 1월 12일까지 진행됩니다. 취급은행을 통해 가입하고, 가입심사가 완료된 후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현재 청년희망적금에 가입된 분들은 도약계좌 가입이 불가하므로, 2월이나 3월에 만기가 되고 나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가입할 때는 일시납입을 통해 조금이나마 더 혜택을 얻을 수 있으니 이를 고려하여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출산혜택 총정리 부모급여, 양육수당, 아동수당, 첫만남이용권, 그리고 둘째 지원금 기한 안내 (0) | 2024.01.15 |
---|---|
2024 육아기,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확대 총정리, 육아 단축근무 급여, 신청방법, 기간 (1) | 2024.01.14 |
2024 자동차세 연납신청 납부 기간 및 할인액 예상액 (1) | 2024.01.14 |
통신판매업 등록면허세 납부 방법, 할인 방법 (0) | 2024.01.14 |
첫만남이용권에 대한 모든 것! 지급대상, 지급방식, 신청방법, 사용처 (0) | 2024.01.13 |